법률영어(협정, 조약 종류 및 조문 해석) 관련 강의내용 요약 정리.
*하단 내용은 정다혜 선생님의 클래스 101 법률영어 수강 후 공부를 위해 필기한 것임
1. 조약과 MOU
1) Treaty 란?
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상 treaty 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
- 'Treaty' means an international agreement concluded between States(국가간 체결) in written form and governed by international law(국제법에 의해 규율되는 국제협정), (...) and whatever its particular designation(문서의 명칭(designation)은 상관없다).
2) MOU 란?
- 기관 간 약정
- 법적 구속력 X
- 하지만 명칭은 MOU면서 성격이 조약인 경우 有
3) 조약 vs MOU 구분
Treaties | MOUs |
- Treaty(조약), Convention(협약), Agreement(협정), Protocol(의정서) | - Memorandum of Understanding, Arrangement |
- agree | - accept, approve, decide, consent |
- Article (제0조) - Done (제일 마지막 서명부분) - Parties (당사국) |
- Paragraph - Signed (마지막 서명부분) - Sides (당사국) |
- enter into force | - come into effect - become effective |
- equally authentic (영문본, 한글본 있는 경우) | - equally valid - having equal validity |
- shall (vs. may : may는 해도 되고 안해도 됨) → should, must, have to 보다 더 강한 강력한 의무, penalty 최대 |
- will → MOU에서는 shall 못씀. 그래서 대신 will 씀 |
*Done 과 Signed 로 가장 쉽게 구분 가능
*shall (가장 강력) > should have to (정도가 덜함) : MOU 에서 shall 쓰면 법적구속력 O, 분쟁가능성 ↑
2. WTO
-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
Article 1.1.1.For the purpose of this Agreement, a subsidy shall be deemed to exist if :
(...)
(i) a government practice involves a direct transfer of funds (e.g., grants, loans, and equity infusion), potential direct transfers of funds or liabilities (e.g., loan guarantees);
* potental : 해석이 쟁점
-밑줄 친 부분 뜻 : 잠재적인 자금의 직접 이전이 있을 경우에도 보조금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
→ 자금이 실제로 이전 X, but 이전 가능성이 있는 것도 포함
→ 어느정도 가능성 인지가 쟁점이 됨
possible | probable |
-sth can be done -sth might happen |
-sth is likely to happen |
* possible < probable (가능성이 더 높음)
→ potential 해석이 possible 인지? probable 인지? 가 쟁점
3. ★법률영어 구분사용 필수
Terms
Nation | State | Country |
- 언어, 전통 공유 - '민족'이라는 개념 ex. 한국은 one nation |
- 정치적인 시스템 - 한 집단의 사람들을 관할권(jurisdiction)이 적용되는 하나의 정치적단위 cf) 국제법: 주권, 국민, 영토 ; 국가를 구성하는 세 요소 |
- 지리적개념 - Nation 이나 State의 영토를 나타내는 단어 |
4. 협상시 유의점
Negotiations
May be suspended | Consider | Endeavour |
- 중단할 수 있는 주체 명시 X - 특정 조치나 의무의 이행주체를 명시적으로 규정해야 나중에 문제 발생 ↓ |
- deem 과 비슷 - '~ 이라고 본다, ~라고 간주한다' 로 쓰이기도 함 -but "고려한다" 로 쓰일 경우, 고려해야 하는 정도가 큰것 |
- "노력하다" -shall 은 무척 강력하므로 대체해서 씀 (정도 ↓, penalty ↓) -shall endeavour to do sth : shall 썼지만 완전히 이행안하고 이행 노력 했다는거 입증하면 의무위반 되지 않음 |
※ "고려한다"
Consider > take into account > in light of
-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Consider 보다 take into account는 정도가 낮아짐
5. 조항 해석
한미 방위비 협정_최종조정 조항
<Final Clauses>
This Agreement shall remain in force (유효한 상태로 유지된다) for a period of three years, and shall thereafter be automatically renewed for subsequent periods of three years (..)
( periods → 3년 씩 여러번 갱신된다)
This MOU will remain in effect for a period of three years and will be automatically extended for a subsequent period of another year (…)
( period → 's' 없음. 추가로 1년 딱 한번만 연장됨)
1) Example 1
for subsequent / successie periods of another / one year | for subsequent / successive one-year periods |
- 추후의 기간동안에는 1년씩 계속 연장된다 |
- 추후에 잇따른 기간동안 계속 연장되고, 1년 단위로 계속 연장된다 |
2) Example 2
This Agreement shall remain in force for a period of five years, and continue in force (…) | This treaty shall remain in force for a period of five years from the date of its entry into force (…) |
- remain in force : 유효하다 - 5년동안 유효하다, 그 뒤로는 계속해서 유효하다 |
- 's' 없으므로 5년동안 한 번의 기간동안만 유효하다 |
3) Example 3
This Agreement shall be renewed automatically for additional 5-year periods unless (…) | This Agreement shall continue to remain in force for successive five-year periods unless (…) |
- automatically : 자동적으로 연장된다 - 's' 있으면 추가로 5년씩 계속 연장됨 |
- 단위는 5년씩 계속해서 연장된다 |
출처: 클래스101 협상과 계약을 위한 고급 영어! Classy한 법률영어 클래서 (by 정다혜 Chloe)
'n개 국어를 향해 > 영어 공부 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법률영어 강의 요약 2 (문장부호 쓰는 법) (0) | 2023.02.24 |
---|